How to leave/파이낸셜프리덤 7

[리뷰]공무원.. 계속 준비해야 할까요? 떠나는 2030세대_부읽남TV

https://youtu.be/RXInFnb2rz0 YouTube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리뷰 일은 많은데 박봉, 꼰대 문화까지 떠나는 MZ 공무원들 적은업무, 연금, 고용안정은 옛말 올해 7급 경쟁률 1979년 이후 최저 취업 준비생에게도 외면 공무원, 공기업 직원이 마주하는 현실의 벽, 이상과의 괴리 및 한계를 속 시원하게 설명한다 나는 발전 공기업의 직원으로서 지극히 공감이 갔고 이에 감정이 이입되어 설명한다 2030세대가 공무원을 기피하며 떠나는 이유 첫째, 낮은 보수 및 임금 상승률의 정체 최저임금 9,620원의 시대, 임금 상승률이 5%에 육박하나 공무원들은? 최저임금보다 낮은 보수로 공무를 하는 직장인 둘째, 근무환경 - 근무시간 외 업무지시와 말이 통하지 않는 꼰대상사 이러려고 공무원이 된게..

[리뷰]파이어족의 공통점 및 현실적인 조언_부읽남TV

https://youtu.be/WctlzsPI18c YouTube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리뷰 전 코트라 출신 및 현 파이어족이지만 다양한 겸업(유투버, 전업투자)을 하는 「거인의 포트폴리오」, 「파이어」, 「하면된다! 퀀트 투자」의 작가, 강환국 강환국 작가는 일전에 퀀트투자를 공부해 볼 때 책을 통해 먼저 접해 본적이 있다 단순하고 쉽지만 소수만이 실천이 가능한 어려운 투자법으로 본인의 투자 실력을 증명하곤 했는데 (하지만 내 성향과는 맞지 않아 패스) 작년 삼프로TV를 시작으로 대중적인 경제 유투버 계정에서 빈번히 등장하더니 확연히 과거와는 이야기의 흐름이 생기긴 했으며 커버하는 범위도 넓어진 듯 하다 이번 부읽남 편은 썸네일 어그로가 좀 있는 듯 하여 새로 살펴보자면 1) 파이어족들의 공통점 2) ..

[리뷰]퇴직하고 마주친 선택지 없는 삶의 현실_부읽남TV

https://youtu.be/6A2PemXLhgA YouTube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리뷰 대기업 L사 임원 출신, 50억 자산가 「아들아, 돈 공부 해야한다」의 작가, 정선욱(정선용, 정스토리) 퇴직 후의 선택지가 없는 삶은 재난 3040 세대가 힘들던 고난은 5060 세대의 재난과는 또 다른 의미이다 재난 보다는 고난이 더 낫지 않은가? 선택지가 없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비참하고 처절한지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우선 저자는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롯데마트 상무 출신으로 내노라 하는 대기업의 임원 출신이다 대기업 임원 = 상위 5%, 20대와 30, 40대의 모든 시간을 노동력으로 환산한 들 도달할 수 있다고 확실 할 수 없는 위치 그렇다면 저자가 강조하는 선택지란? 저자는 본인의..

[자산시장]FOMC 성명서_불확실성 해소_소폭상승

2022.06.16.(목) ☞ FOMC 성명서 ☜ ○ 금리 75bp 인상, 1.5 ~ 1.75% (100bp까지 전망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듯) 불확실성 해소 → 자산시장 발표 이후 소폭 반등 ↑ ○ 인플레는 예상보다 높은 수준, 2%대 유지를 위한 의지 표출 " 미국 경제는 여전히 강한 상태로 보입니다" 경기둔화의 징후는 없다고 표현하고 있으나 그의 말을 100% 확신할 수 없는법 호황기의 금리인상은 자산시장의 상승을 불러일으키나 누가보더라도 지금의 모든 지표는 경기침체 그럼 왜 상승? 7월 금리인상 전망치 수준에 대한 언급을 '75bp가 필수적이지 않다(?)' 라는 성명서의 희망회로적 해석 (사실 시장은 큰손들에 의해 등락, 개미는 뭐) "소비자물가지수(CPI), USD Index" 적어도 이 두 지수..

[자산시장]연준(FED) 금리인상 시나리오_파월형의 큰 그림

2022.06.15.(수) 다가오는 내일 16일 새벽 자산 시장에 투자를 하는 모든이의 귀추가 파월 형의 말한마디에 주목된다 75bp vs 50bp, 아니면 100bp? 돌이켜보면 3월의 망언 "일시적 인플레이션이다", "고용 안정을 최우선으로 한다", "곧 물가 잡힌다" 과거 뭐라고 떠들었든 현재 '경제 안정화' or '인플레이션 파이터'든, 명확한 목표를 잡고 한가지에 초점을 잡아서 행동을 취했으면 얼마나 좋아 차라리 이번에 100bp 올려 자산시장 대폭락 시키고 다음 금리인상에 대한 불확실성 완화전략으로 가면 안되나? 근데 이 지금의 자산시장 대 폭락으로 증발한 돈의 양이면 코로나때 돈복사기로 찍어냈던 돈 어느정도 상각한거 아닌가? 이정도면 파월형의 큰그림일지도 비트코인의 가격이 실현 가격(Real..

[투자마인드]블랙먼데이, All assets are on sale

2022.06.13.(월) 나의 투자 철학 적립형 투자, 자산은 사 모아가는 것 ( 무슨, 아프기만 하다) 지난 기간의 수익을 뱉어낸것은 아쉽지만 두렵지는 않다 대외 이슈, 거시경제 등에 의한 시장 변동성 우리네 개미들이 예단 및 컨트롤 할 수 있는 범위가 아님, 대응만이 살길 피가 낭자한 시장속에 널린 할인행사 품목을 주워 담기만 하면 됨 이를 즐기기 위한 시드 마련을 하자 '소비자물가지수(CPI) 41년만 최고상승률' '미국 FOMC의 빅스텝(기준금리 50bp 인상) 전망에서 자이언트스텝(75bp 인상) 전망까지' 악재 뉴스가 만발을 한다 인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및 피셔플레이션 등 원자재+플레이션을 붙이면 경제용어가 된다 나는 경영, 경제학도가 아니다. 정확한 사전적 정의 외엔 잘모른다 한가지 확..

[투자마인드]나는 부자가 되어가는 중

「나는 부자가 되고 싶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경제적자유, 파이어족 나도 하고 싶다 그런데 어떻게 하는건데? 부동산? 주식? 코인? 아 모르겠고, 몇 십억 벌어서 퇴사하고 싶다 나도 부자가 되고 싶다.」 부자가 되고 싶은 모든 사람들의 무의식 발현인가? 가까운 주변 지인, 회사 동료조차 늘 앵무새처럼 같은 소릴 되뇌인다 블라인드에 '부자'를 검색해봤다. 글이 1만개 이상이나 된다 수 많은 대기업, 공기업 및 중견기업 등 소속만 다를뿐이지 다 같은 도비 집합소에서는 늘 부자란 키워드는 핫하다 그런데 유독 묻는다, 부자가 어떻게 되는지 답을 기대하고 묻는 것일까, 같은 처지의 공유로 공감을 원하는건 아닐까 "나만 힘든게 아니었어, 맞아 다 힘든거야" 그런데 사람마다 힘듦의 경험치와 난이도는 다르다 모두다 같을수..